이집트 쿠데타 성공과 실패한 아랍의 봄 (경향 2013.8.28)
관리자
view : 751
[경향신문]이집트 쿠데타 성공과 실패한 아랍의 봄
<이희수 | 한양대 교수·중동학>
입력 : 2013-08-27 22:54:14
이집트 쿠데타는 미국과 이스라엘의 힘이 압도적인 중동에서 이슬람 정당의 집권은 시기상조라는 냉혹한 현실을 일깨워줬다. 일시적 승리에 도취한 이슬람 세력들은 시민들을 등에 업고, 서구가 주창하는 민주와 인권이란 허울만 믿고 날뛰다가 튀니지·예멘·알제리·리비아, 심지어 터키에서조차 낭패를 당하고 있다. 그들은 고개를 숙이고, 분노를 삭이고, 발톱을 감추면서 때를 기다리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격정적이고 오만하고 폐쇄적이고 무능하기까지 했다. 이집트의 무르시 행정부도 그랬다. 끝이 보이지 않는 긴긴 암흑의 독재터널에서 스스로 빛이 되고, 지치고 버림받은 시민들의 따뜻한 등받이가 돼주던 무슬림형제단의 신화는 사라졌다.

그러나 그들은 조급했다. ‘이슬람 정치세력은 위험하고, 반서구 반왕정’이라는 기존의 고정관념을 씻어주지 못했다. 저항에 익숙한 체질에서 책임있는 성과를 보여야 하는 집권당 체질로 바뀌지 못한 탓이다. 이웃 터키를 보라. 이슬람 정당이 집권해 군부를 통제할 때까지 꼬박 50년을 기다렸다. 그동안 세 번의 유혈 쿠데타와 세 번의 무혈 쿠데타로 국민들이 선거로 뽑아준 민주정권을 포기해야 했다. 세속주의와 결탁하고 일부다처, 간통죄, 사형제, 여성차별 같은 전근대적 이슬람 관습을 과감하게 철폐했다. 이집트 무슬림형제단도 이제 최소 30년을 내다보는 장기 잠복작전으로 전략을 바꿔야 한다.
억울하고 안타깝지만 1400년 이슬람 역사에서 권위주의 정권에 저항하던 방식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 수니파는 인내와 침묵으로 힘을 키우면서 때를 기다리는 법을 가르친다. 시아파는 언젠가 구세주가 나타나 자신들을 구원해 주리라 믿으며 때를 기다린다. 호메니이가 1979년 구세주로 칭송받으며 이란 이슬람 혁명에 성공한 이유다. 카와리지파는 극단적인 저항으로 과격하고 무모하게 협상없이 정면 승부한다. 오늘날 알카에다의 투쟁방식이다. 수니파 주류 무슬림형제단도 미국과 이스라엘의 반문명적 행태에 분노를 터트리고 이웃 아랍국가들의 배반을 통탄하기에 앞서 새로운 투쟁전략을 세워야 한다. 이집트 군부는 무슬림형제단을 배제한 새로운 정치지형으로 새 판을 짜려 할 것이다. 이미 테러집단으로 몰린 무슬림형제단의 정치적 입지는 현저히 줄어들 것이고, 그들이 결사항전을 시작하면 이집트는 내전상태로 돌입해 미국과 이스라엘이 원하는 또 다른 상황을 만들어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