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문] NPT 재검토회의 사이드이벤트-‘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관리자
view : 370
바이든 정권이 대북 군사적 강압 정책을 폐기하면 한반도 비핵화는 얼마든지 가능하다.
2018년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들은 새로운 북미 관계 수립, 한반도 평화 체제 수립,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요지로 하는 싱가포르 공동성명을 채택함으로써 한반도 비핵화 실현에 희망을 안겨주었다. 그러나 북한의 영변 핵시설과 5개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를 맞바꾸자는 김정은 위원장의 제의를 뿌리친 트럼프 대통령의 과욕 때문에 하노이 회담(2019.2)이 파탄 난 후 북미 협상은 오랜 교착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한반도 비핵화 실현에 짙은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한반도 비핵화는 여전히 가능하다. 그러나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군사적 강압 정책이 한반도 비핵화를 가로막고 있다.
하노이 북미회담 실패 후에도 북한의 한반도 비핵화 입장은 큰 틀에서 변함이 없다. 다만 한반도 비핵화의 문턱을 높였을 뿐이다. 비핵화 대 제재 해제에서 비핵화 대 적대 정책 폐기로. 북한이 ICBM 시험발사 유예를 폐기하고 7차 핵실험의 의혹도 받고 있지만, 설령 7차 핵실험을 단행하고 그 결과 핵 무력을 증강해 대미 핵 대결을 강화하더라도 그 자체가 미국의 대북 적대 정책을 폐기하기 위한 것으로 대화와 협상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를 실현하겠다는 입장은 바뀌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