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방위비분담금 의견서 관리자 2019-03-28 12:47:53 view : 1099 방위비 분담금 군사시설 개선 1. 개요 2016년 예산 : 3917억 9천8백만원 2017년 예산 : 4097억 3천9백만원 2016년 대비 2017년 예산이 179억 4천1백만원 증액 2. 국방부가 주장하는 사업 목적 또는 필요성 주한미군 주둔에 필요한 일부시설을 방위비분담금으로 지원, 주한미군의 안정적 주둔여건을 조성함으로써 확고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유지에 기여 3. 국방부 주장의 문제점과 삭감 이유 ① 군사건설비에 관한 제도개선 합의에도 불구하고 미집행액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② 국회는 협정액보다 감액편성된 부분은 추후 지급이 불가하다는 명확한 방침 하에서 예산을 심사해야 한다. ③ 군사건설비에서 전용 축적된 돈이 평택미군기지건설 공사비를 훨씬 상회하는만큼 2017년도 군사건설비는 전액 삭감돼야 한다. ④ 국회는 상임위 및 예결위 부대의견에 따라 현금 미집행액을 방위비분담금 예산에 포함시켜야 하며 그만큼 방위비분담금을 삭감해야 한다. ⑤ 커뮤니티뱅크가 미 국방부 소속 기관임이 확인된 이상 이자소득은 전액 국고로 환수해야 한다. ⑥ 2017년도 군사건설비는 전액 삭감되어야 하며 협정액보다 감액된 152억원도 추후 지급되어서는 안 된다. 방위비분담금 군수분야 1. 개요 2016년 예산 : 1584억 6천6백만원 2017년 예산 : 1601억 9천4백만원 2. 국방부가 주장하는 사업 목적 - 주한미군 주둔에 필요한 군수소요를 방위비분담금으로 지원, 주한미군의 안정적 주둔여건을 조성함으로써 확고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유지에 기여 - 군수지원은 SALS-K지원, 매그넘지원, 장비정비, 물자구입, 전쟁예비물자정비(WRM),기지운영지원, 수송지원, 시설유지보수, 유류지원 등 모두 9가지 분야로 이뤄져 있다. 3. SALS-K 지원비를 삭감해야 할 이유 ① 한국이 미국에게 한국군의 시설을 제공할 법적 의무가 없다. ② 미태평양 육군사령부 탄약을 한국에 저장하는 것은 한미상호방위조약에 어긋난다. ③ 반인도적인 열화우라늄탄은 한국에서 철수해야 한다. ④ 미군소유 탄약의 저장관리비를 한국이 부담하는 것은 한미소파 위배다. ⑤ 불평등한 SALS-K는 폐지돼야 한다. 4. MAGNUM 지원비를 삭감해야 할 이유 ① 한국 공군이 미 공군에게 자신의 시설을 제공할 한미소파상의 법적 의무가 없다. ② 미태평양 공군사령부 탄약을 한국에 저장하는 것은 한미상호방위조약에 어긋난다. ③ 반인도적인 열화우라늄탄의 저장관리 문제 ④ 미 공군의 탄약 저장ㆍ관리비를 한국이 부담하는 것의 불법성 ⑤ 매그넘은 불평등한 한미동맹의 산물로서 폐지돼야 한다. 5. 전쟁예비물자(WRM) 정비비는 삭감돼야 한다. ① 제도개선이 아니라 제도개악이 되었다. ② 2017년도 전쟁예비물자정비 예산(80~90억원)은 전액 삭감돼야 한다.